9급 지방직 공무원 급여,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9급 공무원이 받는 급여는 단순한 월급 외에도 다양한 수당과 혜택이 포함됩니다. 9급 지방직 공무원 급여는 호봉과 근무 지역, 가족 상황 등에 따라 달라지지만, 기본적으로 안정적인 소득과 복지가 보장됩니다. 공무원이라는 직업을 고려할 때, 단순 급여 외에도 연금, 휴가, 복지포인트 등의 다양한 실익도 존재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 9급 공무원 급여를 항목별로 정리해드리겠습니다.
공식 급여표 확인은 행정안전부 보수표 바로가기
2025년 9급 공무원 기본급은 얼마인가요?
2025년 기준 9급 1호봉 공무원의 기본급은 약 **1,769,500원**입니다. 이는 공무원 봉급표에 명시된 금액으로, 해마다 공무원 보수 인상률에 따라 변동됩니다. 기본급은 호봉이 올라갈수록 점진적으로 상승하며, 평균적으로 1년당 약 4~5만 원씩 인상됩니다. 예를 들어 5호봉 기준은 약 2,000,000원에 가깝습니다. 이는 세전 기준이며, 여기에 다양한 수당이 추가되어 실수령액이 구성됩니다.
9급 공무원이 받는 주요 수당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수당은 공무원 급여의 절반 이상을 구성할 정도로 중요합니다. 9급 지방직 공무원은 기본급 외에도 다음과 같은 수당을 지급받습니다.
수당 종류 | 지급 기준 | 월 평균 |
---|---|---|
정근수당 | 6개월 이상 근무 시 지급 | 약 60,000원 |
직급보조비 | 9급 공통 지급 | 약 120,000원 |
명절휴가비 | 연 2회 (설, 추석) | 각 약 700,000원 (1회 기준) |
가족수당 | 자녀 수에 따라 | 약 20,000~60,000원 |
시간외수당 | 초과근무 시간에 따라 | 근무량 따라 다름 |
이 외에도 근무지역에 따라 도서벽지 수당, 교통보조비, 직무수행비 등이 별도 지급될 수 있습니다. 수당 항목별 기준은 지방직 수당 규정 바로가기
실수령액은 세전 기준과 얼마나 차이 날까요?
실제로 통장에 들어오는 실수령액은 세금, 4대 보험, 연금기여금 등을 제외한 금액입니다. 9급 1호봉 기준으로 보면, - 기본급 + 수당 합산: 약 2,500,000원 - 공제액(세금, 연금 등): 약 400,000~450,000원 - 실수령액: 약 **2,050,000원~2,100,000원** 물론 이는 지역과 상황에 따라 다르며, 초과근무 수당이나 가족수당, 특별 근무지 수당 등이 포함되면 더 올라갈 수 있습니다. 정기적으로 지급되는 복지포인트(연 40만 원 수준)나 맞춤형 복지비 등도 실질 소득의 일부로 간주됩니다.
호봉 승급에 따른 급여 상승폭은?
공무원 급여는 호봉제에 따라 매년 자동 인상됩니다. 9급 기준으로는 1호봉에서 10호봉까지 약 300,000~350,000원의 상승폭이 있으며, 장기근속자는 호봉 승급 + 정근수당 인상이라는 이중 혜택을 받습니다. 특히 경력직으로 입직하는 경우(군 복무, 군무원, 사회복무요원 등)에는 경력 산입에 따라 1~3호봉이 인정되므로, 실입직 시점부터 더 높은 급여를 받을 수 있는 경우도 많습니다.
결론: 9급 지방직 공무원 급여는 ‘안정성과 복지’가 핵심입니다
2025년 기준 9급 지방직 공무원 급여는 결코 높은 수준은 아니지만, 안정적인 수입과 다양한 수당, 확실한 복지제도로 인해 장기적으로 보면 민간보다 실속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습니다. 특히 매년 인상되는 기본급, 공무원연금, 맞춤형 복지비, 정기 승진 등을 고려하면 직업 안정성과 미래 설계에 있어 매우 유리한 조건입니다. 수험생이라면 단순한 월급보다 총 보상 구조를 이해하고 입직 후의 경제 계획까지 고려해보시기 바랍니다.
![]() |
![]() |
![]() |
![]() |
자세한 급여표 확인은 행안부 2025 보수표 바로가기